[아이패드 굿노트 필사] 논어 51 벗의 종류
벗의 종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익한 벗에 세 가지가 있고, 손해되는 벗에 세 가지가 있다. 곧고, 성실하며, 견문이 많은 이를 벗하면 유익하며 편벽되고, 무르기만 하고, 말만 잘하는 이를 벗하면 손해된다."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꽃밭에 가면 꽃향기가 몸에 베고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지게 마련. 가까이하는 친구의 말투와 습관을 자기도 모르는 새 닮아가지 않던가. https://youtu.be/uWExvpxIiq0 편벽되고, 무르기만 하고, 말만 잘하는 아첨하며 가식적이며 말만 그럴싸하게 잘하는 사람이 내가 아닌지 돌아봐야겠다...
더보기
[아이패드 굿노트 필사] 논어 47 벼슬 구하는 방법
벼슬 구하는 방법 논어, 공자 자장이 벼슬을 구하는 방법을 배우려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많이 듣고 의심나는 것을 빼 버리고 그 나머지를 삼가서 말하면 허물이 적어지며, 많이 보고 위태로운 것을 빼 버리고 그 나머지를 삼가서 행하며 후회하는 일이 적어질 것이니, 말에 허물이 적으며 행실에 후회할 일이 적으면 벼슬이 그 가운데 있을 것이다." 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자장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 즉과우; 다견궐태, 신행기여, 즉과회. 언과우, 행과회, 록재기중의.") 공자가 제자들을 깨우치는 대화법을 살펴보면 기술적인 처방을 제시하기보다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자..
더보기
[아이패드 굿노트 필사] 논어 45 도를 걱정함
도를 걱정함 논어, 공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도를 도모하고 밥을 도모하지 않는다. 밭을 갊에 굶주림이 그 가운데에 있고, 학문을 함에 녹(祿, 벼슬)이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니, 군자는 도를 걱정하는 법이지 가난을 걱정하지 않는다."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자왈: "군자모도불모식. 경야, 뇌재기중의; 학야, 록재기중의. 군자우도불우빈.") 농부는 밭을 갈고 어부는 고기를 잡고 나무꾼은 나무를 베듯이, 군자는 도에 뜻을 두고 부지런히 공부해서 그것을 세상을 경영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마땅한 이치. 공부를 하는 사람이 처음부터 벼슬을 생각하고 명성을 날릴 것을 생각하면 자연히 직책이 따르게 되고, 도에 뜻을 두고 정진하다 보면 이름이 저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