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 굿노트 필사] 논어 83 효도의의미
효도의 의미 논어, 공자 맹의자가 효를 묻자, 공자께서 "어김이 없어야 한다."라고 대답하셨다. 번지가 수레를 몰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맹손씨가 나에게 효를 묻기에 나는 어김이 없으라고 대답하였다." 번지가 "무엇을 말씀하신 것입니까?" 하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가 살아 계실 땐 예로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 장사 지내고, 돌아가신 뒤에는 예로 제사 지낸다는 말이다."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 事之以禮; 死, 葬之以禮, 祭之以禮." (맹의자문효, 자왈: "무위." 번지어, 자고지왈: "맹손문효어아, 아대왈: '무위.'" 번지왈: "하위야?" 자왈: "생, 사지이례; 사, 장지이례..
더보기
[아이패드 굿노트 필사] 논어 59 봉양과 효
봉양과 효 논어, 공자 자유가 효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금 효라는 것은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것을 이르고 있다. 그러나 개나 말에게도 모두 이런 봉양은 있으니,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子游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자유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효가 어찌 물질적인 봉양만을 의미하겠는가. 부모님의 처지를 헤아리고 한 인격체로 존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봉양하는 음식과 의복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동물과 사람의 차이는 인간에 대한 예의와 공경 유무에 달려 있다는 말씀. https://youtu.be/RbEteey_lLo 아이패드 6세대 굿노트 애플펜슬 필사 논어 59..
더보기